본문 바로가기
인증정보

ISO 14001에서 환경평가는 어떤식으로 진행될까?

by 한국기업인증원 2022. 4. 2.

안녕하세요. 한국기업인증원입니다!

 

오늘은 ISO 14001에서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실 

환경영향평가에 대해서 다뤄볼 텐데요 

특히, 그 중에서도 환경영향평가는 어떻게 하는지 

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ISO 14001에서 환경영향평가는 쉽게 말해서 

회사의 환경 측면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평가입니다.

이를 통해서 회사는 심각한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적으로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에 목적이 있습니다.

 

이를 통한 회사의 환경영향 평가등급에 따라서 

그에 알맞은 대책을 세우고 대응을 하는 게 중요합니다.

 

 

먼저, 환경영향 종합평가를 받아보기 위해서는 

회사에 해당하는 가능성 등급과 영향 정도 등급을 알아내야 합니다.

 

등급 1 2 3 4 5 6
가능성 3점 이하 4~6점 8~10점 12~18점 20~25점 30점 이상

가능성 등급은 1등급부터 6등급까지 여섯 단계로 나누어져 있고

가능성 점수는 발생 빈도 등급 * 관리 방법 등급입니다.

이때, 발생 빈도 등급과 관리 방법 등급은 각자의 기준이 따로 있습니다.

 

등급 1 2 3 4 5 6
영향 정도
(심각성)
4점 이하 5~8점 9~27점 28~64점 65~125점 126점 이상

다음은 영향 정도 등급입니다.

영향 정도 등급은 심각성에 대한 등급이며 

이는 위험성 등급 * 방출량 등급 * 영향 지속시간 등급입니다.

이 또한 위험성 등급, 방출량 등급, 영향 지속시간 등급 

모두 각자의 기준이 따로 마련되어 있습니다.

 

위의 표는 환경영향평가에서 쓰는 종합 평가표입니다. 

앞에서 알아봤던 가능성 등급과 영향 정도 등급을 

이 표에 대입해서 회사에 해당하는 평가 등급을 찾을 수 있습니다.

 

위의 표에서 평가등급이 "3"이상인 경우에 

심각한 환경영향이 있다고 보게 되는데 

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환경영향등록부에 등록하고 

환경업무절차서에 따라서 관리를 해야 합니다.

 

하지만, 해당 부서장이 환경개선을 위해서 조치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경우 "2등급 이하"의 환경영향이라도 

3등급 이상의 경우와 같이 등록,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오늘은 ISO 14001에서 환경영향평가가 

어떠한 방식으로 진행이 되는지 

저희 한국기업인증원과 알아봤습니다.

 

여러가지 환경문제가 대두되는 요즘

환경보호를 위해서 혹은,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해서 

ISO 14001 환경영향평가는 매우 중요합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모든 분들이 환경보호와 지속 가능한 안정적인 경영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으시길 바라며 

저희 한국기업인증원은 다음 포스팅으로 돌아오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