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증정보

한국기업인증원과 알아보는 ISO 45001의 위험성 평가 방법

by 한국기업인증원 2022. 3. 26.

안녕하세요. 한국기업인증원입니다! 

오늘은 ISO 450001의 위험성 평가 방법에 대해서 

저희 한국기입인증원에서 제대로 다뤄보겠습니다.

 

 

먼저 위험성에 대해서 평가하기 위해서

산출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SO 45001에서 위험도는

사고의 빈도 * 사고의 강도로 위험도가 정해지는데요

 

여기서 사고의 빈도는 

위험이 사고로 발전될 확률과 발생 빈도를 의미하고 

사고의 강도는 사고로 인해 입게 되는 피해의 정도를 의미합니다.

사고의 빈도와 강도에 대한 세세한 내용은 아랫부분에서 더 다뤄보겠습니다. 

 

이렇게 산출된 위험도를 표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위험 발생 빈도는 아래의 표와 같이 

하루에 1회 정도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발생 빈도 5 

한달에 1회 저도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발생 빈도 4

1년에 ㅂ회 정도 발생할 경우 발생 빈도 3 

3년에 1회는 발생 빈도 2

10년에 1회는 발생 빈도 1로 평가하게 됩니다.

 

위험 발생 빈도를 살펴봤으니 

위험 발생 강도 또한 살펴봐야겠죠?

사망 또는 노동력 상실 재해를 가져오는 치명적 재해의 경우에 

이를 중대재해로 구분하고 위험 강도 4로 평가합니다.

휴업 재해의 경우는 위험 강도 3, 경미한 재해를 포함한 불휴업 재해는 위험 강도 2로 평가하며 

재해로 인한 인적 손실이 없을 경우엔 위험 강도 1로 평가합니다.

 

 

위험도 산출방식과 요소들을 알아봤으니 

이제 위험도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위험도는 위의 평가표를 기준으로 평가됩니다.

위험도에 따라서 허용 불가 위험, 중대한 위험, 상당한 위험,

경미한 위험, 무시할 수 있는 위험으로 나뉘게 되는데 

위험도 8~10에 해당하는 상당한 위험 이상으로는 반드시 대책을 

세워야 작업을 계속 이어나갈 수 있고 

4~6에 해당하는 경미한 위험은 현 상태로 작업은 가능하나 

작업장의 안전을 위한 일이기 때문에 대책을 세우는 걸 강력히 권장 드립니다! 

 

 

오늘은 저희 한국기업인증원과 표를 사용해서 

ISO 45001의 위험성 평가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봤는데요 

유독 안타까운 산업현장 사고가 많은 요즘 

여러분들도 정확한 기준으로 사업장의 위험도를 평가하고 

그에 대한 효과적인 대책을 세우시길 한국기업인증원이 응원하겠습니다!